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7-5824(Print)
ISSN : 2287-5832(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ol.36 No.4 pp.393-401
DOI : https://doi.org/10.5333/KGFS.2016.36.4.393

Effects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Using As Midium of Anaerobic Digestate on Early Growth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

Un Kab Seo, Jin Woong Lee, Jong Won Ryoo*
Sangji University, Wonju, 220-702, Korea
Corresponding author : Jong Won Ryoo,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 Sangji University, Wonju, 220-702, Korea. Tel:+82-33-730-0516, E-mail: jwryoo@sangji.ac.kr
November 21, 2016 November 21, 2016

Abstract

Anaerobic digestion is a collection of naturally occurring processes that convert organic matter and liquid residue, so-called digestate. The use of digestate biofertilizers is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of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 as they are renewable sources of plant nutrient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Seeds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 were germinated in different concentration of Chlorella in order to investigate it’s the effect of Chlorella on growth parameters, seed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The experiment using plug tray was conducted at the green house placed in the Sangji University. The experiment consisted of nine treatments includ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and non-treated control. The germination percentage at the treatment with 25%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control. The 50% concentration of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was found to promote a better seedling growth in terms of shoot length, fresh weight and dry weight compared to the anaerobic digestate. Results showed that the best concentration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was achieved by the 50% concentration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treatment. As a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was found to be able to promote the germination and shoots growth of Italian ryegrass.


혐기소화처리액을 배지로 이용한 클로렐라 배양액 시용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서운갑, 이진웅, 류종원*
상지대학교

초록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314010-4

    Ⅰ. 서 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의 빈발로 인하여 곡류생산의 안정성 상실, 바이오매스 이용 증가와 수입조사료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국내 양축농가의 사료비 부담이 크게 증 가함에 따라 조사료 생산 및 이용기술 측면에서 많은 정성을 기울이고 있다 (Choi et al., 2012; Ha and Park, 2012; Ji et al., 2011; Kim et al., 2011). 우리나라의 축우산업은 배합사료와 볏짚 위주로 매년 1,600만 톤 이상의 배합사료 원료를 수입하고 있으며, 수입 조사료의 물량도 연간 80~90만 톤을 넘고 있어 친환경적인 축산의 기본인 자급 조사료 확보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사료작물 중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Lolium multiflorum L.)는 사 료가치가 높고 가축의 기호성이 좋고 사일리지 조제에도 적합하며, 특히 최근에는 건초로도 그 이용 가치가 매우 높은 사료작물로 평가되고 있다 (Park et al., 2013).

    사료생산비 절감을 위한 대책으로 가축분뇨의 활용이 기대된다. 가축분뇨는 식물이 필요로 하는 많은 양분이 포함 되어 있어 알맞게 토양에 살포하게 되면 작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귀중한 양분의 급원이 된다 (Agnew et al., 2003; Moore and Gamroth, 1993; Schmitt et al., 1999). 가축분뇨의 자원화 방법으로는 퇴비나 액상분뇨화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가축분뇨 중 분 중심의 고상물질은 대부분 퇴비화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액상분뇨는 호기성발효 과정 또는 혐기성소화과정을 거친 후 초지 또는 논, 밭에 살포되고 있다. 화학비료와 달리 혐기소화처리액은 농업 및 가정에서 배출되는 광범위한 부산물 원료로 혐기소화를 통하여 매우 저렴하게 생산 할 수 있는 비료이다 (Curryand Pillay, 2012).

    사료작물과 목초재배에서 신속하고 균일한 묘 출현은 작물재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 중에서도 목초의 경우 종자의 발아율이 높고 균일하며 발아세가 왕성하여 초기생장이 왕성한 종자가 요구되고 있다. 미생물을 육묘기에 처리하여 발아나 유묘의 생장을 촉진하는 연구는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종자발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많지 않다 (Sa, 2012). 생물비료에는 작물의 내병성 강화 미생물, 미량원소 공급 미생물, 식물생육조절 미생물 (growth regulator) 혹은 작물생육촉진 근권미생물 (plant growing-promoting rhizobacteria) 등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생물비료가 화학물질을 대신하여 식물의 생육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생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물 생육을 위한 미생물제제가 국외에서는 생물비료로 이해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개념 정의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미생물제제에는 작물의 생산성 향상 및 양분을 공급하는 질소고정균과 균근균, 토양식물 양분을 가용화하는 질산화작용 저해 미생물 혹은 인산가용균 그리고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개량하는 미세조류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미생물 제제에는 활성성분으로서 살아있는 미생 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미생물비료 혹은 확대하여 생물비료(biofertilizer)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미생물제제의 정확한 의미는 균체를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 미생물의 생균상태 혹은 사균상태 로 유용한 효과를 내는 ‘미생물 제제’라고 할 수 있다. 미생 물제제를 통하여 육묘를 할 경우 작물마다 각기 다른 미생물이 다른 반응을 보이지만 대체로 종자의 발아촉진과 뿌리의 생장, 병해충 방재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Park et al., 2002). 클로렐라는 직경 2~10 ㎛의 구형 단세포 조류 로 하나의 세포는 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클로렐라는 식물에 비해 5~20배 정도의 엽록소를 가지고 있다. 엽록소는 생물학상 중요한 색소의 축적을 위해 태양광선을 흡수하는 것이며, 엽록소의 함량은 그만큼 더 많은 태양광선을 받아들일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이 되며 엽록소의 함량이 높을수록 보다 풍부한 영양분을 함유하게 된다.

    클로렐라 배양액 및 추출물의 농업적 활용사례는 적으나 클로렐라 실내배양조건을 빛과 암 상태로 14:10h (light : dark)로 조절하거나 암상태에서 glucose (5g/ L)를 첨가하여 배양할 경우 식물생장조절제 (plant growth regulators)인 내생옥신 (auxin)과 사이토키닌 (cytokinin)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Stirk et al., 2014), 클로렐라와 식물생육촉 진근원세균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을 혼합 배양하여 레드클로버에 처리하였을 경우 토양으로부터 수분과 무기양분을 흡수하며, 탄수화물을 저장하고 식물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뿌리의 신장이 길어지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으며 (Rsposo et al., 2011), 양어장의 치어사료 (Bai and Cha, 1997, Becker, 1994), 식품첨가물 (Park et al., 2002),유산균 발효촉진제 (Heo et al., 2006), 폐수 중의 중금속 처리제 (Travieso et al., 2002), 사람에게는 영양학적인 우수성 이 확인되어 (Kim et al., 2003), 최근 고품질 농산물 생산을 위해 유용 클로렐라 균주를 선발하고 과학적으로 효과를 검증하고 농가에 보급, 활용할 수 있는 배양기술이 개발되어 클로렐라를 농자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 고 있다. 클로렐라의 농업적 활용을 살펴보면, 유기농 벼재배 논의 담수에서 분리한 Chlorella vulgaris CHK008 균주 를 2.1 × 105 cell/ml 농도로 ‘설향’과 ‘육보’ 딸기에 엽면처리하였을 때 당도가 향상되었으며 저온 저장 시 딸기와 엽 채소인 상추, 케일, 붉은 케일, 흰 케일, 비트의 저장성이 현저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Kim et al., 2014).

    본 연구는 가축분뇨 혐기소화액비와 가축분뇨 혐기소화 액를 영양배지로 활용하여 배양된 클로렐라배양액이 이탈 리안 라이그라스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혐기소화처리액를 이용하여 클로렐라를 배양한 클로렐라 생물비료의 시용이 플러그 묘판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발아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은 2015년 상지대학교 유리온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실험의 공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Lolium multiflorum L.)는 국립 축산과학원에서 분양받은 코윈어리 품종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혐기소화액은 이천 소재의 돈사에서 가져온 분뇨를 혐기성으로 부숙시켜 만든 원료이며 클로렐라배양액은 상지대학교에서 혐기소화액을 2%로 희석하여 배양한 원료를 사용하였다.

    2. 처리구별 액비 제조방법

    본 실험은 9개의 실험구별 (무처리 1, 처리구 8) 임의배치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혐기소화처리액 처리구와 혐기소화처리액을 이용하여 배양한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Table 1)로 구분하였다. 혐기소화처리액 2%의 액비를 만드는 방법은 혐기소화처리액에 물을 2:98 비율로 희석하여 혐기소화액 2%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희석액 (혐기 소화액 2%)을 원액으로하여 혐기소화처리액 2%를 물을 이용하여 25% (v/v), 50% (v/v), 75% (v/v), 100% (v/v) 혐기 소화처리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처리하였다. 클로렐라 배양 액의 경우 혐기소화액과 같은 방법으로 희석하여 2%의 혐 기소화액을 이용하여 클로렐라 배양기에서 투명한 뚜껑을 덮은 뒤 배양하였다 (Fig. 1). 클로렐라 배양액은 혐기소화액 2%를 원료로 클로렐라를 배양하여 혐기소화처리액과 같은 방법으로 물을 이용하여 25% (v/v), 50% (v/v), 75% (v/v), 100% (v/v) 클로렐라 배양액를 희석 처리하였다.

    혐기소화처리액 2%의 화학적 성분은 Table 2와 같다. 성분함량은 질소가 0.01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가리가 0.008%, 인산 0.001%를 나타내었다. 칼슘과 마그네슘 성분도 함유되어 있으며, pH는 8.5로 알칼리성을 띠며, EC 는 1.1 dS/m 이었다.

    공시한 클로렐라는 가축분뇨 액비에서 분리한 Chlorella sp.을 이용하였다. 클로렐라 25%, 50%, 75%의 균체수 및 화학성분은 배양원액을 희석한 것으로 Table 3과 같다. 클로렐라 배양원액 (100%)의 균체수는 1.0×105 cell/ml이며, 총 질소함량 (Total Nitrogen)은 140mg/ℓ, 총인 (Total Phosphorus)은 12.5 mg/ℓ 이었다.

    3. 육묘 방법

    재배용기는 원예용 상토가 충진된 50 공 플러그 묘판에 1 립씩 파종 후 매일 유묘 출현율을 조사하였다. 상토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원예용 상토 (농우바이오 보금자리 상토) 를 사용하였다. 클로렐라 배양액과 혐기소화액을 매일 시용하였으며, 시용량은 각 플러그 포트 당 1.5 L를 기준으로 하되 매일 묘 상태를 체크한 후 시용량을 0.5 ~ 1.0L로 조절하였 다. 또한 유리온실에서 모든 실험구에 동일한 조건을 만들기 위해 매주 1회 플러그 묘판의 위치를 바꾸어 주었다. 발아율 조사는 12일 동안 50립씩 3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1일 발아개체수를 관찰한 후 평균값을 구하여 발아율로 하였다.

    4. 시료 채취 및 조사방법

    혐기소화처리액와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 후 육묘기간동안 각 처리별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발아 및 생육특성를 조사하였다. 생육조사는 처리구당 식물체 15 개체를 무작위로 채취하여 초기생육기간 중 2차례에 생육조사를 실시하였다. 유묘 생육특성인 초장, 엽장, 엽폭, 엽수, 엽록소 함량 (SPAD), 뿌리길이,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 물중, T/R율을 조사하였다. 엽록소함량은 chlorophyll meter (SPAD-502, Minolta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건물중은 시료의 생체중량을 측정한 60℃ 건조기에서 48시간 건조한 후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조사는 농촌진흥청의 농사시험연구조사 기준 (RDA, 2013)에 준하였다.

    5. 분뇨 성분 분석

    혐기소화처리액의 화학적 성분 분석은 농촌진흥청의 비료의 이화학적 검사방법 (RDA, 2006)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소화액의 pH는 ORION model 420A을 사용하여 이온전극법 (Ionic electronic method), EC (Electronic Conductivity)는 TOA model CM-7B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총질소 (T-N)는 spectrophotometric method으로, 총인 (T-P)은 ascorbic acid method (RDA, 2013)로 분석하였다. 토양 시료는 벼 재배 전과 시험 후, 시험구별로 10개소에서 10 cm 깊이에서 채취하여 건조한 후, T-N은 Kjeldahl법으로 분석하였다. 유효 인산은 Lancaster법으로 비색기(Varian cary-50, Mulgrave, Australi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양이온인 K, Ca, Mg, Na은 AAS (Varian SF-200, Mulgrave, Australia)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6. 통계 분석 방법

    통계분석은 SAS 9.1.3 버전 (2006)을 사용하여 생육조사의 결과를 5% 유의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수행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Table 4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혐기소화처리액과 클로렐라 배양액의 농도별 처리 후 발아율을 나타낸 것이다. 파종 후 12일 동안 관찰한 결과, 종자 치상 후 5일부터 발아가 시작되었으며 6~9일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발아하였다. 클로렐라 배양액 25% 처리구의 발아율은 88.7%를 나타내어 대조구인 물을 사용한 무처리구 보다도 높게 나타나 클로렐라 배양액이 발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클로렐라 배양액 75%, 100% 처리구에 서는 발아율이 낮았다. 이는 클로렐라 배양액 원액은 비료 성분 함량이 높아 발아 장해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고염에 의한 장해는 종자의 발아와 초기 생육 기간이 후기 생육에 비하여 더 입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 (Almansouri et al., 2001).

    2. 초기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

    혐기소화처리액과 클로렐라배양액 처리 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초장, 엽장, 엽폭 및 엽수를 측정하여 무처리구와 비교하였다. 초장은 클로렐라 양액 50% 농도 처리구가 32.3 cm로 가장 컸으며, 혐기소화처리액 50% 처리구에서 29.0 cm로 가장 작았다. 초장은 혐기소화처리액 처리구보다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가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엽장은 클로렐라 배양액 50%, 75% 처리구에서 25 cm 정도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혐기소화처리액 처리구는 무처리구 보다 다소 낮은 초기생육을 보였는데 이는 상토의 무기성분과 시용한 혐기소화처리액의 무기성분에 의하여 초기생육 저조가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엽수는 클로렐라 배양액 50% 처리구에서 18.8개로 많았으며 무처리구에 비해서도 2배 많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농도별 공시액 처리구중에서 클로렐라 50% 처리구는 전반적인 초기 생육이 우수하였다. So (2007)의 연구에서 보고된 배추에 대한 EM 미생 물처리 효과에 의하면 적정농도 (1,000배액)의 미생물처리에 의해 엽수, 엽폭, 엽장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고 보고한 바와 같이 클로렐라 배양액도 적정 시용 농도 처리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엽록소 함량 (SPAD) 측정값은 Table 6과 같다. 클로렐라 배양액 50% 처리구에서 58.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혐기소화액 100% 처리구에서 56.5로 높았다. 가장 낮은 엽록소 측정치를 나타낸 것은 무처리구로 30.7이었다. SPAD 측정값은 혐기소화액과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무처리구에 비해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가 높은 엽록소 수치를 나타낸 것은 혐기소화처리액과 클로렐라 배양액의 N, P, K 등의 무기성분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Park et al. (2006)도 질소비료 증가와 추비는 식물체내 질소비료원이 축적되어 녹색도를 높인다고 보고한 바 있다.

    3.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혐기소화처리액과 클로렐라 배양액의 시용농도 처리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Table 7과 같다. 지상부 생체중은 클로렐라 배양액 50% 처리구에서 29.2 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상부 생육은 클로렐라 배양액 25% 처리구가 가장 낮았는데 엽수가 적은 것이 원인으로 판단되어진다. 혐기소화처리액 50% 처리구는 26.0 g로 혐기소화처리액 처리구 중에서 높은 생체중을 나타내었다. 무처리구의 생체중은 12.0 g으로 액비처리구 보다 매우 낮았는데, 물만을 시용한 결과로 보여지며 또한 생육에 필요한 비료성분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지상부의 건물중은 생체중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클로렐라 배양액 50% 시용구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높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초기 생육 촉진에 효과적인 시용 농도로 사료된다.

    4. 지하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Table 8은 공시액 시용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을 나타내었다.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혐기소화처리액 처리구와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클로렐라 배양액의 농가가 높은 처리구가 높은 생체 및 건물중을 나타내었다. 클로렐라 배양액 50~75% 처리구의 생체중은 25% 처리구 보다 높았다. 지하부의 생육도 지상부 생육과 같이 경향을 나타내었다.

    5. T/R율에 미치는 영향

    Table 9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대한 클로렐라 배양액 시용에 따른 T/R율을 나타낸 것이다. T/R율은 Table 7, 8에서 제시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를 토대로 구하였다. 생체중의 T/R율은 혐기소화처리액 처리구에서 0.88~1.04 (평균 0.97)를 보였으며,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에서는 0.92~1.06 (평균 1.01)의 값을 나타내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건물중의 T/R율 결과도 생체중의 T/R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6. 뿌리길이에 미치는 영향

    클로렐라 배양액 농도별 처리에 따른 뿌리길이를 측정한 값을 Table 10에 나타내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뿌리 길이는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가 혐기소화처리액 처리구 보다 길었다. 클로렐라 배양액 50% 처리구에서 8.1 cm로 가장 길었으며, 처리농도간의 뿌리길이에는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뿌리는 영구형다발형태로 뿌리엉킴 현상이 뚜렷하여 다발상태에서 뿌리 길이를 측정하여 실제보다는 작은 길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Ⅳ. 요 약

    본 연구는 가축분뇨 혐기소화처리액과 클로렐라 배양액시용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처리는 혐기소화처리액과 이를 배지로 활용하여 배양한 클로렐라 배양액의 희석 농도를 각각 25% (v/v), 50% (v/v), 75% (v/v), 100% (v/v) 로 처리하였다. 초기생육의 평가를 위한 조사항목으로 발아율, 초장, 엽수, 엽폭, 엽록소함량 (SPAD) 측정, 지상부,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 T/R율, 뿌리길이 등을 조사하였다. 발아율은 클로렐라 배양액 25% 처리구에서 무처리구 (지하수) 보다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지상부 생육 특성 (초장, 엽장, 엽수 및 엽폭)은 모든 처리구 중에서 클로렐라 배양액 50%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엽록소 측정값 (SPAD)은 무처리구의 30.7에 비해 클로렐라 배양액 50% 처리구는 58.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지상부 생체중은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가 혐기소화액 보다 높았으며 50% 처리구에서 29.2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하부 생체중은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에서 21~27 g로 혐기소 화처리액에 비하여 높았다. T/R율은 혐기소화처리액 처리구에서 0.98~1.04 (평균 0.97)로 클로렐라배양액 처리구의 0.94~1.06 (평균 1.02)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클로렐라 배양액 처리구가 혐기소화처리액 처리구보다 길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지상부 및 뿌리 생육에 클로렐라 배양액의 초기 생육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클로렐라 배양액의 적정 시용농도는 50%로 보여진다.

    Ⅴ. 사 사

    Ⅴ.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수산식품기 술기획평가원의 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 “고상 가축분뇨 에너지화 통합기술 개발” (과제번호 : 314010-4) 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Figure

    886_F1.jpg

    Culture system of chlorella in this experiment.

    Table

    Treatments of this experiment

    Chemical properties of anaerobic digestat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hlorella sp culture used in this experiment

    Germination of total seeds in the Italian ryegrass as affected by anaerobic digestate and chlorella culture solution treatments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MRT at 5% level.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in the Italian ryegrass as affected by anaerobic digestate and chlorella culture solution fertilizer treatments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MR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SPAD values in the Italian ryegrass as affected by anaerobic digestate and chlorella culture solution treatments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MRT at 5% level.

    Fresh and dry weight in the Italian ryegrass shoots as affected by anaerobic digestate and Chlorella culture solution treatments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MRT at 5% level.

    Root weight in the Italian ryegrass as affected by anaerobic digestate and Chlorella culture solution treatments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MRT at 5% level.

    T/R ratio in the Italian ryegrass as affected by anaerobic digestate and Chlorella culture solution treatments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MRT at 5% level.

    Root length in the Italian ryegrass as affected by anaerobic digestate and Chlorella culture solution treatments

    The same lett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MRT at 5% level.

    Reference

    1. Agnew, J., Lague, C., Landry, H. and Roberge, M. 2003. Handling and land application systems for solid and semi-solid manure. The Focus on the Future Conference. March, 25-26.
    2. Almansouri, M., Kinet, J.M., Lutts S. 2001. Effect of salt and osmotic stresses on germination in durum wheat (Triticum durum Desf.). Plant and Soil, 231:243.
    3. Bai, S.C. and Cha, Y.T. 1997. Comparison of growth and body composition in olive flounder larvae (Paralichthys olivaceus) fed domestic experimental and imported commercial microparti- culated diets. Journal of Aquaculture 10:87-95.
    4. Becker, E.W. 1994. Microalgae-biotechnology and microbiology, Cambridge studies in biotechnology Vol. 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pp 202.
    5. Curry, N. and P. Pillay. 2012. Biogas prediction and design of a food waste to energy system for the urban environment. Renewable Energy. 41. pp. 200-209.
    6. Choi, K.C., Na, S.P., Jung, M.W., Lim, Y.C., Park, H.S., Kim, J.K., Kim, W.H., Kim, M.J., Choi, G.J., Kim, M.H., Lee, S.R., Kim, D.H. and Yook, W.B. 2012. Effect of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on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whole crop barley and italian ryegra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paddy land. The Korean Society fo Livestock Housing and Environment. 18:123-130.
    7. Ha, Y.S. and Park, K.K. 2012. Cost analysis of wrap silage production in the paddy field for forage crop cropp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2:75-84.
    8. Heo, J.Y.,Shin,H.J., Oh, D.H., Cho, S.K., Yang, C.J., Kong, I.K., Lee, S.S., Choi, K.S., Choi, S.H., Kim, S.C., Choi, H.Y. and Bae, I.H. 2006. Quality propertiesof appenzeller cheese added with Chlorella. Korean Journal Food Science. Animal. Resources. 26:525-531.
    9. Ji, H.C., Kwon, O.D., Kim, W.H., Lim, Y.C., Cho, J.H. and Lee, K.W. 2011. Selection of pasture species at paddy fiel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Journa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1:113-118.
    10. Kim, S.S., Park, M.K., Oh, N.S., Kim, D.C., Han, M.S. and In, M.J. 2003.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chlorella soybean (Tofu). Joural of the Korean Society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6: 12-15.
    11. Kim, W.H., Kim, K.Y., Jung, M.W., Ji, H.J., Lim, Y.C., Seo, S., Kim, J.D., Yoon, B.K. and Lee, H.W. 2011.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at mixture of annuallegumes and italian ryegrass on paddy fie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1:33-38.
    12. Kim, MJ., Shim, CK., Kim, YK., Park, JH., Hong, SJ., Han, EJ. and Yoon, JC. 2014.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on enhancement of storage and freshness in organic strawberry fruit and leaf vegetable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2:872-878.
    13. Moore, J.A. and Gamroth, M.J. 1993. Calculating the fertilizer of manure from livestock. Water Quality / Waste Management. Oregon State University.
    14. Park, H.S., Kim, J.H., Seo, S., Jung, J.S., Lee, S.H., Lee, K.W. and Choi, G.J. 2013. Effect of conditioning methods and tedding frequency on the drying rate and quality in italian ryegrass h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19(1):69-74.
    15. Park, J.G., Kim, J.D. and Kwon, C.H. 2006. Effect of liquid manure source, application rate and ti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6(4):227-232.
    16. Park, M.K., Lee, J.M., Park, C.H. and In, M.J.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Chlorella powder. Journal. Korean Society Food Science. Nutrition. 31:225-229.
    17. Raposo, R.M., Filomena, M., Morais, C.D. and Santos, R.M. 2011. Chlorella vulgaris as soil amendment: Influence of encapsulation and enrichment with rhizobacteria. International Journal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13:719-724.
    18. Sa, D.M. 2012. Biofertilizer development using indigenous micro- organisms for healthy seedling production.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Plannu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nd Agriculture. 20-52.
    19.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Investigation guidelines for agricultural experiment. pp. 313-500.
    20.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Method of physio-chemical examination by fertilizer, 144-234.
    21. Schmitt, M.A., Russelle, M.P., Randall, G.W. and Lory, J.A. 1999. Manure nitrogen crediting and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survey of Unversity faculty. Journal of Production and Agriculture. 12:419-422.
    22. So, Y.M. 2007. Effect of Effective Microorganisms (EM) on growth properties of Brassica campestris L.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Korea.
    23. Stirk, W.A., Bálint, P., Tarkowská, D., Novák, O., Maróti, G., Ljung, K., Turečková, V., Strnad, M., Ördög, V. and van Staden, J. 2014. Effect of light on growth and endogenous hormones in Chlorella minutissima (Trebouxiophyceae). Plant Physiol. Bio- chemistry. 79:66-76.
    24. Travieso, L., Pellón, A., Benitez, F., Sánchez, E., Borja, R., O’Farrill, N. and Weiland, P. 2002. Bioalga reactor: preliminary studies for heavy metals removal. Bio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2:8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