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7-5824(Print)
ISSN : 2287-5832(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ol.37 No.1 pp.19-27
DOI : https://doi.org/10.5333/KGFS.2017.37.1.19

Effect of Seed Mixture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at an Altitude of 400 m in Jeju island

Hyun Seok Chae1*, Nam Young Kim1, Jae Hoon Woo1, Moon Cheol Shin1, Jun Kyu Son1, Pil Nam Seong1, Wang Shik Lee2, Si Hyun Kim3, Kyung Jun Hwang4, Kim Young Jin5, Nam Gun Park1
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Jeonju 565-851, Korea
2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Korea
3Hannong Bio Industry Corp., Jeju 690-062, Korea
4Korea Airport Service, Jeju 63331, Korea
5Korea Racing Authority, Daejeon 35222, Korea
Corresponding author : Hyun-Seok Chae, Subtropical Animal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Jeju 690-150, Korea. Tel: +82-64-754-5720, E-mail: 13008685a@korea.kr
February 6, 2017 March 21, 2017 March 21, 2017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ol (C1) and warm season grasses (C2) in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at an altitude of 400 m in Jeju island to establishing pasture suitable for grazing horses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pastures mixed with tall and short type grasses on the intake characteristics of horses. C1 used in this study was Kentucky bluegrass, redtop (short type grass) and tall type grasses were orchardgrass and tall fescue, respectively. Treatmen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four groups and the short type grass used in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was mainly bermudagrass. Four treatment groups were follow as; Treatment 1 (bermudagrass + Kentucky bluegrass + redtop) 2) Treatment 2 (bermudagrass + tall fescue + orchardgrass) 3) Treatment 3 (Kentucky bluegrass + redtop) 4) Treatment 4 (tall fescue + orchardgrass). Bermudagrass was a little winter killing and inhibition of plant growth at an altitude of 400 m. Plant heights in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were grown better than that in pastures mixed with C1. Especially, plant height in Treatment 4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Dry matter yield was in the following order: Treatment 4> Treatment 3> Treatment 2> Treatment 1. Dry matter yield in pastures mixed with C1 increased as compared with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Dry matter yield in Treatment 3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In the first investigation regarding vegetation distribu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11.7 and 13.3%, respectively. The growth of bermudagrass in winter was low due to the cold damage. However th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redtop, tall fescue and orchardgrass was good. In the second investiga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5.0 and 11.7%, respectively. Growth of forage in the second investigation was poor as compared to the first investigation. nutritive values(crude protein content,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digestibility) were good in pastures mixed with C1 Especially, nutritive values in pastures mixed with tall was higher than those of pastures mixed short grasses. P content among minerals in Treatment 1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However, the content of Ca, Mg and Mn were lower. The contents of Ca, K, Mg, Na, Cu, Zn and Fe in Treatment 2 were higher. However, the contents of K, Mg, Na, Cu, Zn and Fe in Treatment 3 were lower. Therefore, we suggest that cool season grasses with short grasses were sowed to establishing pasture suitable for grazing horses at an altitude of 400 m in Jeju island.


표고 400m 제주 중산간 지역에서 혼합조합별 초지 생산성 및 식생구성

채 현석1*, 김 남영1, 우 제훈1, 신 문철1, 손 준규1, 성 필남1, 이 왕식2, 김 시현3, 황 경준4, 김 영진5, 박 남건1
1국립축산과학원, 전주 565-851
2제주대학교, 제주 63243
3한농바이오산업(주), 제주 690-062
4한국공항, 제주 63331
5한국마사회, 대전 35222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022401

    Ⅰ.서 론

    우리나라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북방형 목초 의 생육은 늦봄부터 초여름인 5∼6월이 가장 왕성하며 조사 료 생산량도 가장 많은 계절에 속한다. 반면에 여름철 고온기 에 접어들면 “하고현상”으로 목초의 생산성을 기대할 수 없 게 된다. 그래서 일부 연구자들은 여름철 “하고현상”에 강한 남방형 목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Overman et al., 1990; Scarbrough et al., 2006, Hunter et al., 2007, Park et al., 2012, Park et al., 2015). 남방형 목초의 대표적인 초종은 버뮤다그 라스와 바이하그라스 등으로 25∼35℃에서 가장 잘 자라고 15℃내외에서는 성장이 천천히 진행된다(Barnes et al., 2007). 특히 버뮤다그라스는 인도나 아프리카가 원산지로 따뜻하면 서 비가 많은 지역에서 잘 자란다. 지하경의 성장이 좋아 높 게 자라지 않기 때문에 말과 같이 초장이 작은 목초를 좋아하 는 가축들에게 방목용으로 좋은 목초이다. 제주도의 경우는 6 월부터 9월까지 평균기온이 23℃ 이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남 방형 목초의 생육에 적합하다. 이렇듯 제주지역은 연중 온난 습윤한 기후를 나타내나 여름철에 북태평양 고기압과 동절기 에 대륙성 고기압의 확장으로 한라산 지역 특성상 고도에 따 른 기온변화가 해안지역과 산간지역간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 나는데, 습윤한 공기가 상승 할 때는 수증기의 응결로 인해 공기를 가열하게 되므로 습윤단열 감률에 따라 100m 당 0. 5℃ 정도 하강한다고 보고하고 있다(Research Institute for Mt. Halla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6). 제주지역 의 방목지는 주로 한라산 중산간지(해발 300∼700 m)에 초지 가 많이 분포되어있어서 해안 지역과는 온도 및 기상 조건에 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산간 지역에서는 해발고도가 100 m 높아 질 때 마다 0.5℃정도 기온이 낮아지는 것을 고려 할 때 해안지역에 비해 1.5∼3.5℃정도 낮은 온도를 나타낸다. 그래서 말 방목은 초지가 많은 중산간지를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데 주로 선호하는 초종은 따뜻한 지역에서 잘 자라 는 남방형 목초 보다는 북방형 목초이면서 상번초인 톨페스 큐와 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북방 형 목초의 특성은 가을, 겨울 및 봄에는 생육이 좋은 편이나 여름철에는 “하고현상”등으로 생육이 저조하여 말이나 소 등 을 방목 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그래서“하고현 상”이 심한 여름철에는 북방형 목초 대신 남방형 목초를 이 용하므로 여름철에 부족하기 쉬운 목초를 공급할 수 있을 것 으로 사료된다. 또한 말의 채식 습성이 긴 풀보다는 짧은 풀 을 좋아하기 때문에(Hayakawa, 1991) 초장이 큰 상번초 보다 는 포복형으로 자라는 하번초가 말 방목용으로 적합할 것으 로 사료된다. 국내에서도 북방형 목초의 초장에 따라 키가 큰 상번초와 포복형으로 자라는 하번초를 혼파한 연구도 수행되 었으나(Kim and Kim, 1999; Lee and Lee, 2003; Lee and Lee, 2006), 남방형과 북방형 목초에 대하여 파종 시기를 달리하여 혼합 파종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의 중산간지인 표고 400 m에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같은 포장에서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파종하였을 때 겨울철 남방형 목초의 생육여부와 북방형 목초 중에서 상반초와 하번초의 생육 특성을 구명하기위하여 북방형 목초 중 하번초인 켄터 키블루그라스와 레드톱을 시험구로 공시하였고 대조구는 일 반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상번초인 톨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 를 공시하였으며, 남방형 목초로는 하번초인 버뮤다그라스를 공시하였다. 그래서 늦은 봄, 여름철 및 초가을에는 생육이 왕성한 남방형 목초를 이용하고 이른 봄, 늦은 가을에는 북방 형 목초를 이용함으로 눈 내리는 겨울철을 제외하고 연중 방 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본 연 구를 수행하였다.

    Ⅱ.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제주도에서 말 방목용으로 적합한 초지의 혼파 조합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상번초와 하 번초를 4가지로 조합하여 제주시 오등동 난지축산연구소 표 고 400 m 시험포장에서 2014년 5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수 행하였다.

    처리별 초종 구성과 생육형태 구분은 Table 1에서 보는바 와 같다. 파종은 남방형인 버뮤다그라스를 5월에 먼저 산파하 고, 북방형 목초는 버뮤다그라스 초지에 조파기를 이용하여 9 월에 줄파종하였다. 파종 후 목초의 정착을 돕기 위하여 로울 러를 이용하여 진압하였다. 파종량은 전 초종 20 ㎏/㏊이었다. 시비량은 파종 시 기비로 N-P-K를 80-200-70 ㎏/㏊ 시용하였 고, 추비는 N-P-K를 210-150-180 ㎏/㏊ 매 수확직후 분시하였 다. 시험기간 동안 온도와 강수량은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전 실험기간 동안의 월평균 강수량은 150.0 ㎜, 가장 적 은 달은 30 ㎜, 가장 많은 달은 2014년 8월로 460.3 ㎜ 이었다. 월평균 기온이 25℃가 넘는 달은 7월과 8월로 나타났다. 시험 기간의 전체적인 기후특성은 평년과 비교하여 평균 강수량과 기온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목초 출현양부는 파종 후 20일 후인 10월 3일에 실시하였고 월동양부는 4월 27일에 실 시하였다. 초장 및 수량은 4차례(4. 27., 5. 29., 7. 20., 10. 6.) 조사하였으며, 식생분포는 5월29일, 10월6일 2회 조사하였다. 목초의 생육특성인 출현양부, 한해와 도복, 병해, 풍엽성 정도 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연구 조사 분석 기준에 의거하여 조사하였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건물수량은 각 처리구별로 300∼500 g의 시료를 채취하여 생초중량의 무게를 재고 60℃ 열풍건조기에서 72시간 이상 건 조 후 건물함량을 계산한 다음 ha당 수량으로 환산하였다. 건 조된 시료는 20 mesh mill로 분쇄한 다음 플라스틱 시료 통에 보관한 후 분석용 시료로 공시하였다. Neutral detergent fiber(NDF), Acid detergent fiber(ADF) 함량은 Goering and Van soest(1970)법에서 사용되는 시약을 이용하여 Ankom fiber analyzer(Ankom technology, 2005a, 2005b)로 분석하였 다. 무기물 함량은 AOAC(1996)의 전함량 분석법에 따라 산 분해를 시킨 후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 ICP-AES; SPECTRO Analtical Instrumentsm, GmbH, Kleve, Germany) 발광 분광법으로 분석하였다. 식생분포율은 달관조사 방식으로 하였으며 시험포에서 1 ㎡ 기준으로 식생 을 분류한 뒤 건물기준으로 평균치를 기록하였다. 통계처리는 SAS(2002)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Ⅲ.결과 및 고찰

    1.생육특성

    각 처리별 출현양부 및 한해 정도는 Table 3에서 보는 것과 같다. 처리 1과 처리 2는 9.0, 처리 3과 처리 4는 5.0으로 처리 3과 4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남방형 및 북 방형 혼합초지에서는 남방형 목초의 한해 피해로 성장이 늦 어지면서 북방형 목초까지 늦게 출현하였으나 북방형 목초 만 파종한 처리구에서는 중 정도의 출현을 나타내었다. 한해 (寒害) 피해는 남방형 목초와 북방형 하번초와 혼합한 처리 1 이 6.3으로 가장 좋지 않았고 다음으로도 남방형 목초와 톨페 스큐와 오차드그라스가 혼합한 처리 2가 5.0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북방형 목초만 혼파한구에서는 3.0∼4.3으로 중상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한해 피해는 남방형 목초를 혼합 파 종한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특히 북방형 하번초인 켄터 키블루그라스와 레드톱을 혼합한 처리 1구에서 피해가 심하 였다. 도복, 병해, 풍엽성, 출수기는 Table 4와 같다. 도복, 병 해 피해는 모든 처리에서 양호하였고, 풍엽성은 처리 1이 7.0 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처리 2가 5.0으로 중 간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3과 4 처리는 3.0으로 중상을 나타내 어 남방형 목초와 북방형 하번초가 혼합한 처리 1구가 가장 낮은 풍엽성을 나타내었다. 출수기는 5.5∼5.29일 정도로 남 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가 북방형 목초 만 파종한구 보다 출수 시기가 늦었다. 이는 남방형 목초가 여름∼가을 동안 우 점한 상태로 겨울을 지나면서 이른 봄에 발아해야 할 북방형 목초의 성장이 늦어지면서 출수도 늦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2.초장

    각 처리별 초장은 Table 4에서 보는 것과 같다. 1차에서 남 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에서는 처리 1이 19.1 ㎝, 처리 2 가 27.0 ㎝으로 북방형 목초 중 상번초가 포함된 처리 2가 유 의적으로 성장을 하였고(p<0.05), 북방형 목초 처리구에서는 처리 3이 31.0 ㎝, 처리 4가 36.9 ㎝으로 상번초가 포함된 처리 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초장을 나타내었다(p<0.05). 전체적 으로 북방형 목초이면서 상번초인 톨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 혼합 처리구가 높은 초장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켄터키블루그 라스와 레드톱 혼합 처리구가 높았다. 반면에 남방형 및 북방 형 혼합 목초구는 전체적으로 낮은 초장을 나타내었다. 2차 조사에서도 1차 조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전체적으 로 1차 조사 때 보다는 20∼43 ㎝ 정도 더 큰 초장을 나타내었 다. 3차 조사에서도 북방형 목초이면서 상번초인 4처리구가 53.6 ㎝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큰 초장을 나타내었고(p<0.05),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에서는 하번초로 구성된 처리 1구가 33.0 ㎝으로 가장 낮은 초장을 나타내었다. 4차 조사에 서는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목초구인 처리 2가 54.6 ㎝으로 가장 큰 초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 라스가 한해 피해를 받아 생육이 저조하고 북방형 목초의 생 육이 왕성한 결과로 사료된다. 그리고 북방형 목초구에서는 하번초인 처리 3처리구가 29.6 ㎝으로 가장 낮은 초장을 나타 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전체 평균으로는 처리 1이 30.8 ㎝, 처리 2가 43.6 ㎝, 처리 3이 37.4 ㎝, 처리 4가 55.6 ㎝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 형 목초구에서 초장이 더 컸으며 특히 상번초인 처리 4처리 구의 초장이 가장 컸다. 그러나 하번초이면서 포복형으로 성 장해가는 켄터키블루그라스는 다년생 화본과 목초로써 초기 생육은 느리지만 지하경을 가지고 있어서 빈번한 예취에도 재생이 잘되는 목초(Balasko et al., 1996)의 특징을 가지고 있 어서 말의 방목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초종으로 생육 초기에 는 생산성이 저하되나 정착이 된 후에는 생산성이 증가할 것 으로 사료된다. 상기의 결과와 같이 켄터키블루그라스와 레 드톱은 북방형 하번초로 써 초장은 작으나 추위에 대한 적응 성이 좋고 초기보다는 후기 생육이 좋은 편이다. 그러나 버뮤 다그라스는 남방형 하번초로 써 더위에는 강한 편이나 추위 에 약하여 본 연구에서와 같이 표고 400 m에서는 겨울철 한 해 피해가 심하여 봄철 발육이 늦어져 전체적으로 초장이 작 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Park et al.(2012)은 버뮤다그라스 Common 종의 평균 초장이 47 ㎝라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도 버뮤다그라스를 포함하여 하번초위주로 구성된 버뮤다그 라스+켄터기블루그라스+레드톱 처리구의 초장이 30.8 ㎝으 로 버뮤다그라스 단독으로 파종한 구보다 혼합 목초에서 더 낮은 초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겨울철 한해 피해로 생육이 전체적으로 저하된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5

    3.건물 수량

    각 처리별 건물 수량은 Table 6에서 보는 것과 같다. 1차의 건물 수량은 처리 1이166 ㎏, 처리 2가 676 ㎏, 처리 3이 2,501 ㎏, 처리 4가 1,035 ㎏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 혼합구에서 전체적으로 저조한 생산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처리 1이 유의 적으로 저조하였다(p<0.05). 이는 한해로 남방형 목초인 버 뮤다그라스의 생육이 저조한 탓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혼합구보다는 북방형 목초 만 파종한 처리구에서 건물 수량 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처리 3이 가장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 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2차에서는 처리 1이 938 ㎏, 처리 2가 742 ㎏, 처리 3이 2,445 ㎏, 처리 4가 1,230 ㎏으로 처리 3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목초에서는 전체적인 수량이 1차보다 는 증가하였으나 북방형 목초 만 있는 처리구에 비하여 낮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3차에서는 남방형 및 목방형 목초를 혼 파한 처리 중에서 처리 1이 2,273 ㎏으로 처리 2의 1,750 ㎏보 다 우수한 생산량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3차에서도 북방형 목초 만 파종한 구가 남방형과 북방형 혼합 목초구 보다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처리 3이 3,332 ㎏으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4차에서는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한 처리구 중에서 처리 1이 처리 2보다 우수한 생산량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 0.05). 북방형 목초 만 파종한 3, 4처리구는 남방형과 북방형 목초를 혼합한 처리 1, 2구보다 수량이 저조하였다 이는 북방 형 목초가 온도가 높은 여름철을 지나면서 성장 세력이 약하 여지면서 전체적으로 남방형 목초를 혼합한 처리구 보다 수 량이 적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는 북방형 목초 중 에서는 처리 3이 10,690 ㎏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는 처리 4가 6,993 ㎏이 높았고 남방형과 혼합한 처 리구는 처리 1, 처리 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Rao et al.(2007)은 버뮤다그라스 초지에 동계사료작물을 보파해도 이듬해 버뮤다그라스 수량에 는 영향이 없었다고 보고하였는 데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한해피해 및 건물수량으로 보아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혼합한 처리구에서는 초기에 버뮤 다그라스의 우점으로 다른 북방형 목초의 생육이 저조하였고 또한 겨울철을 지내면서 한해 피해를 받아 남방형 목초의 생 육이 저조하여 혼합 파종 하는 것 보다는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분리해서 파종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표고 400 m 고지에서는 겨울철 한해 피해로 남방형 목초의 생육이 저조하므로 남방형 목초의 파종은 피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Lee and Lee(2003)은 상번초와 상・하번초 혼파 처리구를 비교하였을 때 상번초 보다는 상・하번초 혼합 처리구의 수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버뮤다그라 스가 하번초이고 톨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가 상번초임을 감 안하면 처리 2가 처리 4 보다 더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하번 초인 버뮤다그라스가 생육 초기에 우점으로 북방형 목초의 생육이 낮았고 또한 겨울을 지나면서 한해 피해로 남방형 목 초인 버뮤다그라스의 생육이 저조하여 북방형 상번초 만 파 종한 처리구가 더 많은 수량을 나타 낸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 한 경향은 하번초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내었다.

    4.식생분포

    각 처리별 식생분포는 1차(5.29)와 2차(10.6)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1차에서는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11.7%, 5.0%으로 작년 겨울에 한 해 피해를 받아 생육이 저조한 반면에 북방형 목초인 켄터키 블루그라스, 레드톱, 톨페스큐, 오차드그라스의 생육이 전체 적으로 좋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1차 조사보다 2차 조사에서 더욱 현저히 나타나 버뮤다그라스의 세력이 더 욱 약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처리 1에서 켄터키블루그 라스, 레드톱에서 레드톱이 켄터키블루그라스 보다 점유율이 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북방형 목초 만 파종 한 처리구 중 처리 3은 켄터키블루그라스 보다 레드톱이 점 유율이 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 4는 어느 한쪽 의 우점 없이 품종별로 잘 성장하였다. Lee et al.(2007)은 북 방형 상번초인 오차드그라스와 티머시 등으로 혼합 파종한 처리구에서는 비슷한 식생 분포율을 나타내어 본 연구의 북 방형 상번초 만 혼합 파종한 처리 4와 비숫한 생육 상황을 나 타내었다. Park et al.(2011)은 버뮤다그라스와 이탈리안라이 그라스를 혼파하였을 때 버뮤다그라스의 생육이 7월 이후 고 온기에 들어가면서 수량이 증가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는 처리 1에서 1차 조사에는 버뮤다그라스의 점유율이 11.7% 이었으나 2차에서는 5.0%까지 감소하여 상기에 연구와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겨울철 한해 피해로 버뮤다그라스 의 생육이 약해진 상태에서 북방형 목초의 생육이 왕성하여 상대적으로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의 생육이 더 위축된 것으로 사료 된다. Huxley(1992)은 남방형 목초가 살기 좋은 온도는 10℃ 정도에서 시작하여 25∼30℃에서 최고로 잘 성장 하다가 –15℃ 이하로 내려가면 얼어 죽게 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평균 최저기온이 4.6℃이었는데 많은 남 방형 목초가 동사를 한 것은 추위보다는 땅이 서릿발 피해를 입어 목초가 동사한 것으로 사료된다.

    5.조단백질, NDF, ADF

    각 처리별 조단백질, NDF, ADF 함량은 Table 8에서 보는 것과 같다. 조단백질 함량이 남방형 및 북방형 하번초 혼합 목초구인 처리 1이 18.03%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처리 2가 15.28%를 나타내었으며 처리 3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 나 처리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전체적으로 남방 형 및 북방형 혼합 목초가 북방형 만 혼합한 처리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NDF는 처리 3이 54.69%으로 가장 높 았고 다음은 처리 4로 50.17%를 나타내었으며 처리 1이 44.94%으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ADF 는 처리 4가 28.43%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처리 3이 26.52% 를 나타내었고 처리 2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 로 상기의 결과를 고려할 때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우수한 목초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번 초 보다는 하번초 혼합 처리구에서 좋은 값을 나타 내었다. Taylor(1995)는 상번초형 혼파초지는 cellulose와 lignin 및 ADF 함량과 같은 섬유소 물질이 높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건 물소화율이 낮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상・하번초와 하번 초위주의 처리구보다 상번초인 처리 4의 ADF 함량이 높은 것 으로 보아 상기의 연구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Lee and Lee(2003)은 하번초위주의 목초가 상번초위주의 목초보다 조 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반대로 ADF, cellulose 등은 낮 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고, Lee et al.(2000)도 상번초 조합에 비하여 상・하번초 혼파조합에서 조단백질이나 가소화건물수 량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도 상번초인 처리 4에 비하여 상・하번초인 처리 2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하 고 ADF는 감소하여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6.무기물함량

    각 처리별 무기물함량은 Table 9에서 보는 것과 같다. Ca 함량은 처리 2가 0.20%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처리 4가 0.17%이었으며 가장 낮은 처리구는 처리 1이 0.15%를 나타내 어 톨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가 혼합된 처리구가 켄터키블루 그라스와 레드톱 혼합구보다 약간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 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P 함량은 남방형 및 북방형 하번초 혼합 형태인 처리 1이 0.30%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p<0.05), 다음도 남방형 및 북 방형 혼합 형태인 처리 2가 0.28%를 나타내었고 북방형 상번 초인 처리 4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 <0.05). K 함량은 처리 2가 3.54%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처리 4가 3.22%를 나타내었으며 처리 3은 2.05%으로 가장 낮은 값 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 0.05). Mg 함량은 처리 2가 0.20%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 었고 다음은 처리 4가 0.17%을 나타내었으며 처리 1과 처리 2는 0.10%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유 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Na은 처리 2가 440.74 ㎎/㎏으 로 가장 높았고 처리 3이 163.35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 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Fe 함량은 처리 2가 400.34 ㎎/㎏으로 가장 높았고 처리 3이 84.23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 0.05). Mn 함량은 처리 4가 99.61 ㎎/㎏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는 처리 2가 93.65 ㎎/㎏을 나타내었으며 처리 1은 21.68 ㎎/㎏으로 유의적으로 낮은 값(p<0.05)을 나타 내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 스와 북방형 하번초가 혼합한 처리 1의 경우는 P 함량이 비교 적 높게 나타났고 Ca, Mg, Mn 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남방 형 목초와 북방형 상번초인 처리 2는 Ca, K, Mg, Na, Cu, Zn, Fe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북방형 하번초로 구성된 처리 3은 K, Mg, Na, Cu, Zn, Fe의 함량이 가장 낮은 값을 나 타내었다. 북방형 상번초로 구성된 처리 4는 Mn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나머지는 중간 정도의 값을 나타내었다.

    Ⅳ.요 약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용으로 적 합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활용하여 북방형과 남방형 목 초를 혼합하거나 북방형 목초 만을 파종하였고 또한 말의 방 목 시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북방형 목초는 상번초와 하번초 로 구별하여 처리를 나누었다. 북방형 목초는 하번초인 캔터 기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와 레드톱(redtop), 상번초 인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톨페스큐(tall fescue)를 공시 하였다.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형태에서 처리 1은 하번초 위 주로 구성하여 버뮤다그라스에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하였고, 처리 2는 버뮤다그라스에 상번초인 톨페스큐+오 차드그라스를 혼합하였다. 북방형 목초 만으로 혼합한 형태 인 처리 3은 하번초 위주인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 하였고 처리 4는 상번초인 톨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를 혼합 하였다.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 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입어 생육이 저조하였다. 초장은 평균 적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 목초 만 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크게 자랐으며 특히 상번초인 톨페스 큐+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성장하였 다. 건물 수량은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 형 목초구에서 더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하번초인 켄 터기블루그라스+레드톱 혼합 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량은 나 타내었다. 식생분포에서는 1차 조사의 경우 처리 1과 처리 2 에서 버뮤다그라스가 11.7%, 13.3%으로 저조한 생육을 나타 내었는데 이는 겨울철 버뮤다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받아 생 육이 저조하였고 반면에 켄터키블루그라스, 레드톱, 톨페스 큐, 오차드그라스의 생육은 양호 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처 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5.0%, 11.7%으로 1차 조 사 때 보다 더욱 생육이 위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단백 질과 NDF, ADF의 소화율에서는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혼 합한 처리구에서 더 우수한 목초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특 히 상번초 보다는 하번초 혼합 처리구에서 좋은 값을 나타 내 었다. 무기물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와 북방형 하번초가 혼합한 처리 1의 경우는 P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 타났고 Ca, Mg, Mn 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남방형 목초와 북방형 상번초인 처리 2는 Ca, K, Mg, Na, Cu, Zn, Fe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북방형 하번초로 구성된 처리 3은 K, Mg, Na, Cu, Zn, Fe의 함량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제주지역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방법은 남방형 목초는 겨울철 한해 피해로 생육이 저 조하여 북방형 하번초위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Ⅴ.사 사

    Ⅴ.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명:남방형 및 북방 형 화본과 목초 이용 우수 혼파초지 선발 및 말 방목 체계 확 립, 세부과제번호:PJ0102240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Table

    Treatments of pasture mixtures with grasses type and seeding dates.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t Jeju-si, Jeju-do during experiment
    The emergence and cold damage of pasture mixtures
    abMeans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let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1)Emergence : 1(goodness)~9(badness),
    2)Cold damage : 1(No damage)~9(Extreme damage)
    The lodging tolerance, disease infection, leafiness, heading date of pasture mixtures
    1)Lodging tolerance : 1(No damage)~9(Extreme damage),
    2)Damage infectin : 1(No damage)~9(Extreme damage),
    3)Leafiness : 1(outstanding)~9(poor),
    4)Heading stage : month-day
    Height of plant of pasture mixtures (unit : cm)
    abcMeans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let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Dry matter yield of pasture mixtures
    abMeans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let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otanical composition of pasture mixtures
    The crude protein, NDF, ADF of pasture mixtures (unit : %)
    abc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let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1)NDF: Neutral detergent fiber,
    2)ADF: Acid detergent fiber
    Mineral of pasture mixtures
    abc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let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Reference

    1. (2005a) Method for Determining Neutral Detergent Fiber, ANKOM Technology, http://www.ankom.com/09_ procedures/procedures2. shtml Accessed May 8, 2005
    2. (2005b) Method for Determining Acid Detergent Fiber, ANKOM Technology, http://www.ankom.com/09_ procedures/procedures1. shtml Accessed May 8, 2005
    3. (199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Chemists,
    4. Balasko John A , Evans GW , Duell RW (1996) Forages , Bluegrass, Ryegrass and Bentgras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Vol.1 ; pp.357-371Chapter 9
    5. Barnes RF , Miller DA , Nelson CJ (2007) Forages; The Science of Grassland Agriculture, Blackweii publishing, Vol.2 ; pp.88
    6. Goering HL , Van Soest PJ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No.379, USDA,
    7. Hayakawa Y (1991) Grazing management for yearling of race horses , J. Japan. Grassl. Sci, Vol.37 (3) ; pp.330-336
    8. Hunter M , Barney P , Kilcher T , Cherney J , Lawarence J , Ketterings Q (2007) Teff as emergency forage. Agronomy Fact Sheet 24, Dept of Crop and Soil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Cornell University Cooperative Extension,
    9. Huxley A (1992) Lawns ,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Macmillan, Vol.3 ; pp.26-33ISBN 0-333-47494-5
    10. Kim MC , Kim JH (1999) Effect of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and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Planted Singly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orage Species on Suppressing Weeds , J. Kor. Grassl. Forage Sci, Vol.19 (3) ; pp.241-250
    11. Lee CE , Park NG , Park HS , Oh WY , Ko MS , Kim DH , Kang DH (2007) Change in the productivity and the percentage of grasses intake in different mixtures grazed by thoroughbred horses , J. Kor. Grassl. Forage Sci, Vol.27 (1) ; pp.29-36
    12. Lee HS , Lee ID (2006) A comparative study of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tall type and turf type mixtures , J. Kor. Grassl. Forage Sci, Vol.26 (4) ; pp.221-226
    13. Lee ID , Lee HS (2003) A comparative study of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tall type and tall+short type mixtures , J. Kor. Grassl. Forage Sci, Vol.23 (2) ; pp.121-128
    14. Lee ID , Lee HS , Park YJ (2000) Study on the renovation of white clover dominated pasture , J. Kor. Grassl. Forage Sci, Vol.20 (3) ; pp.207-214
    15. Overman AR , Neff CR , Wilkinson SR , Martin FG (1990) Water, harvest interval and applied nitrogen effects on forage yield of Bermudagrass and Bahiagrass , Agro. J, Vol.82 ; pp.011-1016
    16. Park HS , Choi KC , Kim JH , Lee SH , Jung JS (2015)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s of Bermudagrass, Teffgrass and Kleingrass as annual forage crop in summe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ol.35 (1) ; pp.36-42
    17. Park HS , Park NG , Kim JG , Chio KC , Lim YC , Chio GJ , Lee KW (2012)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for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and Bahiagrass (Paspalum notatum) in Je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ol.32 (2) ; pp.131-138
    18. Park NG , Hwang KJ , Lee CE , Kim N Y , Park HS , Ko MS , Lim YC (2011) Effect of seeding dates of Italian ryegrass inter seeded into Bermudagrass sod on the forage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Italian ryegrass and Bermudagrass , J. Kor. Grassl. Forage Sci, Vol.31 (4) ; pp.383-388
    19. Rao SC , Norhup BK , Phillips WA , Mayeux HS (2007) Interseeding novel cool- season annual legumes to improve Bermudagrass paddocks , Crops Sci, Vol.47 ; pp.168-173
    20. (2006) Report of survey and study of Hallasan natural reserve , ; pp.281
    21. (2012) Livestock. forage, grasses of hwabongwa. Chapter 9 , Based on analysis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 pp.935
    22. (2002)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Inc,
    23. Scarbrough DA , Coblentz WK , Coffey KP , Hubblell TDS Ⅲ, Smith E , Humphry JB , Jennings JA , Ogden RK , Turner JE (2006) Effects of forage management on the nutritive value of stockpiled Bermudagrass , Agro. J, Vol.98 ; pp.1280-1289
    24. Tylor RW (1995) Hay sampling and grading. Agronomy fact series: AF-16, University of Dalaware,